티스토리 뷰

목차



    2025 재산세 고지서, 아직 안 받으셨나요?💸
    그렇다고 안심은 금물! 잘못하면 가산세 폭탄 맞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걱정하지마세요.

    고지서 없이도 조회부터 납부까지 인터넷으로 가능하니까요.
    지금 바로 확인하고 마지막 절세 팁까지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재산세 조회 & 납부

     

     

     

    재산세 납부 일정 및 조회 방법

     

     

    재산세는 연 2회 나눠 고지됩니다.
    ✅ 7월 16일~31일: 주택(1기분), 건물
    ✅ 9월 16일~30일: 주택(2기분), 토지
    고지서가 오지 않아도 국세청 홈택스에서 바로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어요.⬇️

     

    로그인 - 납부 고지 환급 - 세금납부 -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

     

     

    재산세 과세표준이란?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 금액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산세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 × 공정시장가액비율

    예시:
    공시가격 1억 원 아파트 → 과세표준 = 1억 × 60% = 6천만 원

     

    재산 종류별로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 아래 표를 확인하세요.

     

    자산 구분 시가표준액 기준 공정시장가액비율 계산 공식
    아파트 등 주택 공시가격 60% (특례 시 43~45%) 공시가격 × 비율
    상가·공장 건물 시가표준액 70% 시가표준액 × 70%
    토지 공시지가 × 면적 70% 공시지가 총액 × 70%

     

    아래는 주택 기준 세율표입니다:

     

    과세표준 구간 세율 산출 방식
    6천만 원 이하 0.1% 과세표준 × 0.1%
    6천만 ~ 1.5억 0.15% 초과분 × 0.15% + 6만 원
    1.5억 ~ 3억 0.25% 초과분 × 0.25% + 19.5만 원
    3억 초과 0.4% 초과분 × 0.4% + 57만 원

     

    1세대 1주택자는 0.05%~0.35%의 특례 세율 적용 가능

     

    절세를 위한 4가지 핵심 팁

     

     

    1세대 1주택자 특례 세율 활용
    공시가격 9억 이하 주택은 낮은 세율 적용 가능!

    6월 1일 기준 취득 시점 유의
    취득일이 6월 2일 이후면 당해 재산세 면제 가능

    감면 대상자 확인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고령자는 복지로에서 감면 대상 확인 필수

    임대사업자 등록 또는 주택연금 활용
    감면 또는 납세 유예 등 유리한 조건 제공

     

     

     

    Q&A

     

    Q1. 공시가격과 과세표준은 어떤 차이인가요?
    A. 공시가격은 정부가 산정한 부동산 기준가이고, 과세표준은 여기에 일정 비율(60~70%)을 곱한 금액입니다.

     

    Q2. 공정시장가액비율은 매년 바뀌나요?
    A. 보통 고정(주택 60%, 건물/토지 70%)이나, 정부 방침에 따라 조정될 수 있어요.

     

    Q3. 1세대 1주택 감면은 자동인가요?
    A. 대부분 자동 적용되지만, 주소지 이전·세대구성 변동 등 있으면 확인 필요!

     

    Q4. 고지서가 너무 많이 나왔어요.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위택스’ 또는 구청 세무과에서 고지내역 확인 후 이의신청 가능해요.

     

    Q5. 재산세 외에 부가되는 세금은?
    A. 도시지역분(0.14%)과 지방교육세(본세의 20%)가 추가됩니다.

     

     

    결론 및 납부 독려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으로 과세되며, 부동산을 보유한 누구나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과세표준과 세율 구조를 이해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지금 바로 재산세를 조회하고, 절세 전략도 함께 챙기세요!